MKE 앙카라귀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KE 앙카라귀쥐는 앙카라를 연고로 하는 터키의 축구 클럽이다. 1910년 이스탄불에서 알튼외르스 이드만 유르두로 창단되었으며, 1923년 아나돌루-투란 사나아트카랑귀쥐로 통합된 후 1926년 군수 공장 스포츠 클럽으로 등록하여 리그에 참가했다. 1932년 앙카라귀쥐 청년 스포츠 클럽으로 변경되었으며, 194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터키컵 2회, 터키 슈퍼컵 1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49년 터키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2023년 구단주의 심판 폭행 사건으로 인해 논란이 되었으며, 2024년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쉬페르리그 구단 - 안탈리아스포르
안탈리아스포르는 1966년 창단된 튀르키예 안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쉬페르리그와 TFF 1리그를 오가며 활동했고, 튀르키예컵 준우승 2회, UEFA 인터토토컵과 UEFA컵에 참가했으며, 현재 안탈리아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FC 오사카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 쉬페르리그 구단 - 갈라타사라이 SK (축구)
갈라타사라이 SK는 1905년 창단된 튀르키예 프로 축구 클럽으로, 쉬페르리그 최다 우승 및 튀르키예컵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0년 UEFA컵과 UEFA 슈퍼컵을 석권한 튀르키예 축구의 명문 클럽이다. - 1910년 설립된 축구단 - CA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CA 벨레스 사르스피엘드는 1910년에 창단된 아르헨티나의 축구 클럽으로, 달마시오 벨레스 사르스피엘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1990년대에 황금기를 누리며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고, 호세 아말피타니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10년 설립된 축구단 -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는 1910년 상파울루 철도 노동자들이 창단한 브라질 축구 클럽으로, 브라질 세리에 A 7회 우승과 FIFA 클럽 월드컵 2회 우승 등 화려한 역사를 자랑하며 열정적인 팬덤과 주요 더비 매치로 브라질 축구의 중심 역할을 한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MKE 앙카라귀쥐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Makina ve Kimya Endüstrisi Ankaragücü Spor Kulübü (마키나 베 키미아 엔디스트리스 앙카라귀쥐 스포르 쿨뤼뷔) |
약칭 | AG |
창단 | 1910년 8월 31일 (투란 사나트카란귀쥐) |
경기장 | 에리아만 스타디움 |
수용 인원 | 20,560명 |
회장 | 이스마일 메르트 Fırat (Firat은 으 발음이 없는 i 위에 점이 두개 찍힌 문자) |
감독 | 케난 코차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 |
메인 색상 | 노란색, 파란색 |
최근 시즌 | |
리그 | 스ュ페르・리그 |
시즌 | 2023-24 |
유니폼 | |
홈 | 상의: 파란색 하의: 파란색 양말: 파란색 |
원정 | 상의: 노란색 하의: 노란색 양말: 노란색 |
써드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
2. 역사
앙카라에 본거지를 둔 앙카라귀쥐는 이스탄불 교외의 제이틴부르누와 마크리쾨이에서 시작되었다. 제이틴부르누 군수 생산 수리 공장(İmalat-ı Harbiye Tamir Atölyesi) 직원들이 축구를 하던 중, 1904년 이후 공장의 다양한 부서가 자체 축구팀을 결성했다. 1910년 8월 31일, 아가 오르한의 그룹은 알튼오르스 스포츠 클럽(Altınörs İdman Yurdu)을, 슈크뤼 아바스의 그룹은 투란 사나아트카랑귀쥐(Turan Sanatkârangücü)를 설립했다.
포병 공장 수리 공장의 알튼오르스 멤버들은 앙카라에서 아나돌루 사나아트카랑귀쥐를 설립하기 위해 앙카라로 이주했고, 군수 생산 수리 공장의 숙련공과 노동자들도 투란 사나아트카랑귀쥐를 설립했다. 1923년 8월 31일, 두 팀은 아나돌루-투란 사나아트카랑귀쥐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1924-1925 시즌에 무하프즈귀쥐와의 경기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인해 등록이 말소되었으나, 1926년 8월 3일 오스만 자티 베이의 승인 후 군수 공장 스포츠 클럽(İmalât-ı Harbiye Spor Kulübü)으로 등록하고 리그에 참가했다.
1932-1933 시즌부터 앙카라귀쥐 청년 스포츠 클럽(Ankaragücü Gençlik ve Spor Kulübü)이 되었지만, 1939년 8월 31일 AS-FA 귀쥐로 개명했다. 1942년 8월 31일, AS-FA 앙카라귀쥐 청년 스포츠 클럽(AS-FA Ankaragücü Gençlik ve Spor Kulübü)이 되었고, 1948년 7월 31일 앙카라귀쥐 청년 스포츠 클럽이 되었다.[36]
2. 1. 초기 (1909–1959)
앙카라귀쥐는 앙카라를 연고로 하지만, 1910년 이스탄불에서 '''알튼외르스 이드만 유르두'''로 창단되었다.[4] 클럽은 이스탄불 금요 리그에서 경쟁했다. 이스탄불에 기반을 둔 클럽이 앙카라로 이전한 배경은 불분명하다. 다른 이론에 따르면 클럽이 분열되어 일부 선수들은 쇠크뤼 아바스를, 다른 선수들은 아가 오르한을 따랐다고 한다. 쇠크뤼 아바스는 1910년에 '''투란 산아트카랑귀쥐'''를 창단했다. 1938년, 두 클럽은 합병하여 '''AS-FA 귀쥐'''를 결성했다. 1948년에 클럽 이름이 마지막으로 변경되어, 양측 모두 앙카라귀쥐로 정착했다.[4] 앙카라귀쥐는 1949년에 이전 터키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1924년에는 아나돌루 투란 산아트카랑귀쥐라는 이름으로 3위에 올랐다.[4]1938년 이전 알튼외르스 이드만 유르두와 투란 산아트카랑귀쥐 두 클럽이 1938년에 AS-FA 귀쥐로 통합되었고, 1948년 앙카라귀쥐로 변경되기까지의 자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36]
2. 2. 쉬페르리그 시대와 강등 (1959–1981)
앙카라귀쥐는 1959 터키 전국 리그의 최초 16개 구단 중 하나였다.[5] 앙카라 프로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한 후 리그에 합류했다.[2] 앙카라귀쥐는 밀리 리그 첫 시즌에서 Beyaz Grup(백색 그룹)에서 5위를 기록했다.[5]1967-68 시즌에 2. 리그로 강등되었는데, 이는 2번째로 낮은 순위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앙카라귀쥐는 다음 시즌에 다시 최상위 리그로 복귀했다. 1975-76 시즌에 다시 강등되었지만,[6] 다음 시즌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7] 1977-1978 시즌에 세 번째로 강등되었다.[8]
2. 3. 1부 리그 복귀 (1981–2012)
1981년, 앙카라귀쥐는 정치적 결정으로 1부 리그로 복귀했는데, 당시 FIFA는 이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9] 터키 대통령 케난 에브렌과 앙카라 주지사 무스타파 괴뉠은 수도에 1부 리그 팀을 원했고, 이에 따라 앙카라귀쥐는 사카르야스포르에 이어 2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승격을 얻었다. 앙카라귀쥐는 터키컵에서도 우승했다.[9] 그 이후 앙카라귀쥐는 계속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1990년대에 이 클럽은 가끔 성공을 거두었다.에르순 야날 감독 아래에서, 앙카라귀쥐는 2000-01 시즌 6위, 2001-02 시즌 4위를 기록하며 두 번의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에르순 야날이 팀을 떠난 후, 앙카라귀쥐는 매년 강등을 피하기 위해 힘겹게 싸웠고, 전반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였다. 이 시기 동안 앙카라귀쥐는 마지막 몇 경기에서 간신히 강등을 면했다. 그 결과, 2000년대 후반에 재정 위기가 닥쳤다.
경제 위기 이후, 아흐메트 굑첵이 제말 아이든을 대신하여 회장이 되었다. 그는 앞으로 몇 년 안에 팀이 챔피언이 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이전에 (비공식적으로) 앙카라스포르와 관련이 있었고, TFF는 두 클럽을 동시에 통제하는 것에 반대하며 앙카라스포르를 강등시켰다. 앙카라스포르가 강등된 후, 그는 두 팀의 선수단을 합병했지만, 챔피언십에서 우승할 수 있는 선수단을 구성하지는 못했다.
아흐메트 굑첵이 선출된 총회는 터키 법원에 의해 무효화되었고, 젱기즈 토펠 이을드름이 회장직에 복귀했다. 경제 위기로 인해 젱기즈 토펠 이을드름은 주축 선수들을 매각했고, 팀은 터키 수페르리그에서 가장 약한 팀 중 하나가 되었다. 사미 알튼유바가 다음 회장이 되었지만 재정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지속적인 재정 위기로 인해 많은 선수들이 팀을 떠났다. 이후 벤트 아흘라트, 아틸라 쉴쉴뤼, 메흐메트 이으네르가 회장이 되었지만 재정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2. 4. 강등과 승격 (2012-현재)
MKE 앙카라귀쥐는 재정 위기로 인해 2011-2012 시즌 쉬페르리그에서, 2012-2013 시즌 PTT 1. 리그에서 강등되었다. 2016-2017 시즌 터키 축구 3부 리그에서 승격하여 TFF 1. 리그로 복귀했으며, 다음 시즌 쉬페르리그로 다시 승격했다.앙카라귀쥐는 2019-2020 쉬페르리그에서 강등권으로 시즌을 마쳤지만, 터키 축구 연맹은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강등을 무효화했다.[1]
2023년 12월 11일, MKE 앙카라귀주의 구단주 파루크 코자가 리제스포르와의 경기 막판 동점골 이후, 그라운드에서 쓰러진 주심 할릴 우무트 멜러르를 주먹으로 때리고 여러 번 발로 차서 체포되었다.[2] 이 사건으로 터키의 모든 프로 축구 경기가 무기한 중단되었으며, 다음 날인 12월 12일 코자는 구단주직에서 사임했다.[2] 12월 13일, 멜러르는 병원에서 퇴원했고, 경기는 12월 19일에 재개하기로 합의했다.[2] 12월 14일, 코자는 터키 축구 연맹으로부터 축구계에서 영구 제명되었으며, 앙카라귀주는 2000000TRY의 벌금을 부과받고 다음 5번의 홈 경기를 무관중으로 치르라는 명령을 받았다.[2] 2024년 5월 26일, 앙카라귀주는 트라브존스포르와의 원정 경기에서 4-2로 패배한 후 여섯 번째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2] 11월 11일, 코자는 멜러르를 폭행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3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
3. 부르사스포르와의 특별한 관계
1990년대 초반, 부르사스포르의 울트라 그룹 텍사스에는 압둘케림 바이락타르라는 리더가 있었다. 그는 앙카라에서 공부하게 되었고, 앙카라에 있는 동안 앙카라귀쥐 경기를 관람하기 시작하면서 두 클럽 간의 유대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93년, 그는 군 복무 중 사망하면서 짧은 생을 마감했다. 이 비극적인 사건은 부르사스포르와 앙카라귀쥐를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그의 사망 후 첫 경기에서 부르사스포르는 그를 기리는 추모 행사를 열었고, 이어진 사건들은 두 팀 간의 형제애를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 앙카라귀쥐 서포터들의 대규모 그룹이 경기장에 들어가 '우리 형제 압둘은 영원히 죽지 않는다, 그는 우리 마음속에 살아있다'라는 대형 현수막을 펼쳤다. 두 서포터 그룹은 연합했고, 수백 명의 앙카라귀쥐 울트라들이 그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그날부터 부르사스포르 서포터들은 모든 홈 경기 6분마다 앙카라귀쥐의 이름을 연호했는데, 숫자 6은 앙카라의 도시 코드를 의미하기 때문에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앙카라귀쥐 서포터들은 이에 대한 답례로 부르사의 도시 코드인 16분에 부르사스포르의 이름을 연호한다. 두 팀이 경기를 할 때, 서포터들은 함께 앉는데, 이는 상대 팀의 울트라들이 혼합된 환경에서 함께 경기를 관람하는 드문 경우 중 하나이다. 그들은 경기에 "부르산카라" 스카프(두 클럽 이름의 합성어)를 가져와 상호 존중으로 가득 찬 환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4. 경기장
클럽은 현재 2019년에 개장한 에리야만 스타디움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있다. 앙카라귀쥐의 이전 홈 구장이었던 앙카라 19 마이스 스타디움은 2018년에 철거되었다. 또한 현재 같은 앙카라 연고 클럽이자 라이벌인 겡칠레르비를리이와 경기장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5. 선수 명단
MKE 앙카라귀쥐의 선수 명단은 분류:MKE 앙카라귀쥐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현역 선수
2024년 9월 13일 기준 선수명단.[33]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4 | DF | 메르트 체틴 | Mert Çetin|메르트 체틴tr |
5 | DF | 디에고 코엘료 | Diogo Coelho|디에고 코엘류pt |
6 | MF | 젬 튀르크멘 | Cem Türkmen|젬 튀르크멘tr |
7 | DF | 스텔리오스 키치오 | Στέλιος Κίτσιου|스텔리오스 키치우el |
8 | MF | 톨가 치게르지 | Tolga Ciğerci|톨가 지게르지tr |
9 | FW | 리아드 바지치 | Riad Bajić|리아드 바지치bs |
10 | MF | 에프칸 베키로글루 | Efkan Bekiroğlu|에프칸 베키로을루de |
11 | MF | 스텔리오스 키치오 | Στέλιος Κίτσιου|스텔리오스 키치우el |
14 | FW | 케빈 바르가 | Varga Kevin|케빈 버르거hu |
16 | DF | 이스마일 초크찰르쉬 | İsmail Çokçalış|이스마일 초크찰르슈tr |
17 | FW | 레나트 다다쇼프 | Renat Dadaşov|레나트 다다쇼프az |
18 | DF | 알페르 울루다 | Alper Uludağ|알페르 울루다으tr |
19 | FW | 시로지딘 아스타나쿨로프 | Sirozhiddin Astanakulov|시로지딘 아스타나쿨로프tr |
20 | MF | 리카르도 사포나라 | Riccardo Saponara|리카르도 사포나라it |
21 | MF | 마흐무트 테크데미르 | Mahmut Tekdemir|마흐무트 테크데미르tr |
22 | MF | 도린 로타리우 | Dorin Rotariu|도린 로타리우ro |
23 | MF | 알리 칸 귈레렌 | Ali Kaan Güneren|알리 칸 귀네렌tr |
25 | GK | 에르타츠 외즈비르 | Ertaç Özbir|에르타츠 외즈비르tr |
26 | DF | 니코 슐츠 | Nico Schulz|니코 슐츠de |
27 | DF | 아르다 윈야이 | Arda Ünyay|아르다 위냐이tr |
28 | GK | 파티흐 데미르 | Fatih Demir|파티흐 데미르tr |
29 | FW | 레날도 세파스 | Renaldo Cephas|레날도 세파스영어 |
30 | MF | 메수트 케식 | Mesut Kesik|메수트 케식de |
35 | MF | 하산 나자르르 | Hasan Nazarlı|하산 나자를르az |
40 | MF | 유수프 귈테킨 | Yusuf Gültekin|유수프 귈테킨tr |
77 | DF | 하이르울라 빌라제르 | Hayrullah Bilazer|하이룰라 빌라제르tr |
88 | MF | 오스만 첼리크 | Osman Çelik|오스만 첼리크tr |
91 | GK | 괴르켐 지한 | Görkem Cihan|괴르켐 지한tr |
99 | GK | 바하드르 한 귕귈두 | Bahadır Han Güngördü|바하드르 한 귄괴르뒤tr |
- | MF | 에네스 테페치크 | Enes Tepecik|에네스 테페치크de |
5. 2. 임대 선수
포지션 | 국가 | 이름 | 임대 구단 및 기간 |
---|---|---|---|
GK | Doğan Kaya|도우칸 카야tr | 에디르네스포르 (~2025년 6월 30일) | |
DF | Mert Can|메르트 잔tr | 니이데 벨레디예스포르 (~2025년 6월 30일) | |
MF | Andrej Đokanović|안드레이 조카노비치bs | 위름라니예스포르 (~2025년 6월 30일) | |
MF | Onur Efe Ekri|오누르 에페 에크리tr | 튀르크 메탈 1963 (~2025년 6월 30일) | |
MF | Enes Tepecik|에네스 테페지크de | 앙카라스포르 (~2025년 6월 30일) | |
FW | Atakan Dama|아타칸 귄네르tr | 창카야 (~2025년 6월 30일) | |
FW | Olimpiu Moruțan|올림피우 모루찬ro | 피사 (~2025년 6월 30일) | |
FW | Mervan Yiğit|메르반 이이이트tr | 24 에르진잔스포르 (~2025년 6월 30일) |
6.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파티흐 테림 | 1987-1989 |
발레리 니폼니시 | 1993-1994 |
사페트 수시치 | 2005-2006 |
히크메트 카라만 | 2006-2007, 2009 |
한스페터 브리겔 | 2007 |
로제 르메르 | 2009-2010 |
이스마일 카르탈 | 2017-2018 |
바이라므 베크타시 | 2018- |
엠레 벨뢰졸루 | 2023- |
7. 역대 성적
MKE 앙카라귀쥐의 역대 리그 및 튀르키예 쿠파스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디비전 | 튀르키예 쿠파스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2001-02 | 수페르리그 | 34 | 15 | 8 | 11 | 72 | 58 | 53 | 4위 | 16강 |
2002-03 | 수페르리그 | 34 | 15 | 4 | 15 | 44 | 42 | 49 | 8위 | 3라운드 탈락 |
2003-04 | 수페르리그 | 34 | 13 | 6 | 15 | 48 | 53 | 45 | 9위 | 2라운드 탈락 |
2004-05 | 수페르리그 | 34 | 10 | 8 | 16 | 37 | 61 | 38 | 13위 | 2라운드 탈락 |
2005-06 | 수페르리그 | 34 | 10 | 9 | 15 | 43 | 48 | 39 | 13위 | 조별 리그 탈락 |
2006-07 | 수페르리그 | 34 | 11 | 9 | 14 | 32 | 39 | 42 | 13위 | 조별 리그 탈락 |
2007-08 | 수페르리그 | 34 | 11 | 10 | 13 | 36 | 44 | 43 | 8위 | 조별 리그 탈락 |
2008-09 | 수페르리그 | 34 | 11 | 6 | 17 | 36 | 47 | 39 | 13위 | 조별 리그 탈락 |
2009-10 | 수페르리그 | 34 | 9 | 14 | 11 | 39 | 40 | 41 | 12위 | 조별 리그 탈락 |
2010-11 | 수페르리그 | 34 | 10 | 11 | 13 | 52 | 62 | 41 | 13위 | 조별 리그 탈락 |
2011-12 | 수페르리그 | 34 | 2 | 5 | 27 | 22 | 77 | 11 | 18위 | 3라운드 탈락 |
2012-13 | TFF 1. 리그 | 34 | 7 | 8 | 19 | 31 | 62 | 29 | 18위 | 4라운드 탈락 |
2013-14 | TFF 2. 리그 키르미지 | 34 | 22 | 5 | 7 | 77 | 30 | 71 | 3위 | 3라운드 탈락 |
2014-15 | TFF 2. 리그 키르미지 | 34 | 11 | 11 | 12 | 41 | 39 | 44 | 9위 | 조별 리그 탈락 |
2015-16 | TFF 2. 리그 키르미지 | 34 | 12 | 13 | 9 | 40 | 32 | 46 | 9위 | 2라운드 탈락 |
2016-17 | TFF 2. 리그 키르미지 | 34 | 22 | 6 | 6 | 58 | 28 | 72 | 1위 | 2라운드 탈락 |
2017-18 | TFF 1. 리그 | 34 | 18 | 9 | 7 | 55 | 34 | 63 | 2위 | 3라운드 탈락 |
2018-19 | 수페르리그 | 34 | 11 | 7 | 16 | 38 | 53 | 40 | 13위 | 5라운드 탈락 |
2019-20 | 수페르리그 | 34 | 7 | 11 | 16 | 31 | 56 | 32 | 18위 | 4라운드 탈락 |
2020-21 | 수페르리그 | 40 | 10 | 8 | 22 | 46 | 65 | 38 | 19위 | 3라운드 탈락 |
2021-22 | TFF 1. 리그 | 36 | 21 | 7 | 8 | 56 | 31 | 70 | 1위 | 5라운드 탈락 |
2022-23 | 수페르리그 | 34 | 위 |
2015-16 시즌에는 승점 3점이 삭감되었다.
7. 1. 국내 대회
대회 | 우승 | 준우승 |
---|---|---|
터키 축구 선수권 대회 | 1949 (1회) | - |
터키 컵 | 1971–72, 1980–81 (2회) | 1972–73, 1981–82, 1990–91 (3회) |
터키 슈퍼컵 | 1981 (1회) | 1972 (1회) |
TFF 1. 리그 | 1968–69, 1976–77, 2021-2022 (3회) [22] | - |
앙카라 축구 리그 | 1924, 1935–36, 1936–37, 1948–49, 1951–52, 1956–57 (6회) | - |
TFF 2. 리그 | 2016-17 (1회) | - |
7. 2. 유럽 대회
MKE 앙카라귀쥐는 UEFA 컵 위너스 컵, UEFA컵, 발칸 컵 등 유럽 대회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UEFA 컵 위너스 컵 | 6 | 0 | 1 | 5 | 1 | 13 | –12 |
UEFA컵 | 6 | 3 | 0 | 3 | 4 | 8 | –4 |
UEFA 합계 | 12 | 3 | 1 | 8 | 5 | 21 | –16 |
발칸 컵 | 4 | 2 | 1 | 1 | 3 | 1 | +2 |
전체 합계 | 16 | 5 | 2 | 9 | 8 | 22 | –14 |
'''UEFA 컵 위너스 컵 경기 기록'''
시즌 | 라운드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1972-73 | 1라운드 | 리즈 유나이티드|리즈 유나이티드영어 | 1–1 | 0–1 | 1–2 |
1973-74 | 1라운드 | 레인저스 FC|레인저스영어 | 0–2 | 0–4 | 0–6 |
1981-82 | 1라운드 | SKA 로스토프|SKA 로스토프ru | 0–2 | 0–3 | 0–5 |
'''UEFA컵 경기 기록'''
시즌 | 라운드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1999-2000 | 예선 라운드 | B36 토르스하운|B36 토르스하운fo | 1–0 | 1–0 | 2–0 |
1라운드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아틀레티코 마드리드es | 1–0 | 0–3 | 1–3 | |
2002-03 | 1라운드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알라베스es | 1–2 | 0–3 | 1–5 |
'''발칸 컵 경기 기록'''
시즌 | 라운드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1984-85 | 8강 | 스파르타크 바르나|스파르타크 바르나bg | 2–0 | 0–0 | 2–0 |
4강 | 이라클리스 FC (테살로니키)|이라클리스el | 1–0 | 0–1 | 1–1 (승부차기 2–4) |
'''UEFA 랭킹'''[23][24][25][26][27][28][29][30][31][32]
시즌 | 순위 | 점수 |
---|---|---|
1973 | 204 | 0.500 |
1974 | 203 | 0.500 |
1975 | 203 | 0.500 |
1976 | 201 | 0.500 |
1977 | 200 | 0.500 |
2000 | 152 | 13.925 |
2001 | 133 | 16.987 |
2002 | 143 | 16.362 |
2003 | 152 | 16.495 |
2004 | 155 | 12.656 |
8. 클럽 관련 정보
알리 묄쉼 오으라스
셀추크 타락치
할릴 지한 위날
톨가 야을친